본문 바로가기
웹개발

웹 개발 기본 지식 알고가자! - 프로토콜 편(TCP? IP? UDP?)

by 포 키 2023. 7. 25.
728x90

개발자를 꿈꿔본 사람이라면 처음엔 웹 개발에 대해 먼저 생각해보고 알아보게 된다.

흔히 웹 개발은 자바 스크립트를 쓰는 게 아닌가? 하는 생각으로 시작하게 되는데 막상 시작해보려하면 알아야 할 기본 상식들이 너무나도 많은게 현실이다.

지금부터는 웹 개발을 시작하기 전에 꼭 알아두어야 하는 기본 지식들을 간단하게 정리해서 개발자로 한걸음 나아가는 시간을 가져보자!

 

1.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은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통신이 중심인데, 제일 기반이 되는 TCP/IP 프로토콜은 인터넷 네트워크의 핵심이다.

# TCP/IP 프로토콜

서로 다른 시스템을 가진 컴퓨터들을 연결해주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해준다.

@ IP??

TCP보다는 많이 들어본, 인터넷 주소로 많이들 알고있다.

정확하게는 통신을 할 때, 송신자와 수신자를 구별해주는 각자가 가진 고유 주소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런 IP에도 단점은 있다.

IP를 우편물로 생각하면, 우리가 주소를 정확히 적어 보내도 이사를 가버리면 주인이 없는 집에 우편물이 도착해버린다.

이것을 비연결성 이라고 한다.

택배사에서 중간에 물건을 분실하거나, 부피가 큰 물건이라 2차 배송을 하는 상품일 때 하나만 먼저 도착하는 경우 우리는 택배사를 믿기가 힘들다. 이것을 비신뢰성 이라고 한다.

 

@ TCP??

우리말로 풀어 쓰면 전송 제어 프로토콜로, 논리적으로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이 이유로 신뢰가 가능한 프로토콜이다.

즉, 내가 통신하던 타 시스템과 통신이 끝날 때까지 연결이 유지된다!

IP의 비신뢰성과는 다르게 순서를 보장하고, 데이터 전달을 보증한다.

 

@ UDP??

TCP와 반대로 비 연결지향에 데이터 전달 보증과 순서 보장이 없는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이다.

이 프로토콜로 통신을 할 경우에는 데이터를 전송할 때마다 내가 보내려 하는 IP를 지정해 줘야한다.

 

2. PORT

PORT는 컴퓨터에서 데이터를 전송할 때 수신하는 하드웨어의 위치이자 모뎀과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로이다.

우리가 클라이언트에 여러개 연결해야 할 때 사용한다. 이 때, 포트 번호를 부여하는데 65536개에 할당할 수 있다.

0번 부터 시작해서 65535번 까지 할당하며, 그 중 0~1023번 까지는 이미 잘 알려진 포트로 굳이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도메인

도메인 역시 많이 들어봤을 것이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구글(google.com), 네이버(naver.com) 등이 모두 도메인으로 연결된다.

쉽게 생각하면 우리가 스마트폰 마다 전화번호를 가지고 있듯, 사이트 마다의 주소가 있는 것이다.

이런 도메인 역시 주소다 보니 각자의 .ip를 가지고 있다.

 

이렇게 프로토콜, 포트, 도메인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았다.

자세하게 알아도 좋지만 이 정도만 기본적으로 알아둬도 웹 개발을 공부하는데 있어서 힘든 점은 없을 것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