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물가 데이터에 대한 종속변수를 월평균 지출금액으로 잡고, 최종적으론 물가에 대한 만족도 조사 결과를 요인 분석으로 할 생각이다.
이렇게되면 전체적인 프로젝트의 기틀이 달라지는 것이 아닌가? 에 대해서 말을 해보자면,
결론은 아니다.
물가 부분의 활용 방향이 살짝 달라질 뿐, 우리의 최종 목표는 제주 관광 공사에 인기 관광지와 함께 물가의 폭이 어떤 추세인지 보여주고 물가 조정을 부탁하는 것으로 하기 때문에 전혀 문제없다.
물가가 상승한 것이 아니라면, 연도별로 최저임금이 상승할 때 지출금액은 줄었어야 하는데 아니었다는 것을 활용해서 이 부분을 뒷받침 해주려 한다.
만족도에 대한 요인 분석을 하면 어떻게 활용할지는 아직 확정짓지는 않았지만,
현재 진행중인 분석과 비슷하게 카테고리별로 물가 만족도가 있으면 그렇게 활용하며 심리물가처럼 이용될 것 같다.
반응형
'프로젝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 프레임 병합과정의 오류 해결과정 (pd.concat으로 해결!) (0) | 2023.09.20 |
---|---|
프로젝트 물가 데이터의 최종 방향성! (0) | 2023.09.19 |
금일 프로젝트 문제 + 현재 방향성에 대한 의문 (0) | 2023.09.18 |
분산분석을 진행하면서 발생한 이슈들 해결법 (0) | 2023.09.18 |
[박스플롯] labels와 positions 크기 호환 안되는 이슈 (0) | 2023.09.18 |